Logic-based computational method in extremal combinatorics
- [[양홍석 교수님|양홍석 교수님]]
- 발표자료
왜 PL커뮤니티에 강연하나?
Flag algebra는 logic에서 나옴. [[abstract interpretation|요약 해석]]등의 개념이, [[갈루아 연결|갈루아 연결]]도, flag algebra의 증명과정에서 쓰임.
Math to CS
Auto-formalization (수학개념->전산논리)
- Morph社의 Trinity가 ABC 추측의 weak ver. 증명
Flag algebra
옛날에 유행하던. 10년 동안 open problem을 풀음. Stability = opt.sol이 근본적으로 유일한지, 아니면 여러 구조가 비슷한 최적치를 갖는지 subgraph density 가 중요 개념. \(p (H, G)\) \((\,|\,H\,|\,=m \le \,|\,G\,|\,=n)\)
infinite case (\(n\to \infty\))일 때 flag alg. 가 잘 작동. e.g. \(\lim_{ n \to \infty }\sup K_{3}\text{-free}\)
semidefinite problem solver 인 flagmatic이용해 풀음. Flag Algebra defines a proof system, which flagmatic searches on.
Subgraph density
G 는 feature vector로 간주. \(p(-, G)\)라는 \(\infty\)-차원 벡터로 이해 (embedding)
- 모든 \(H\)마다 하나의 index. H 는 feature map로 간주. \(p(H, -):FinGraph \to \mathbb{R}\)
Limiting graph = \(\infty\)-차원 벡터.
\((G_{n})_{n\in\mathbb{N}}\) is increasing , converging (\(\forall H.\exists\lim_{n \to \infty } p(H, G_{n})\)) Set of limiting graphs \(\Phi={\lim_{ n \to \infty } p(-, G_{n})}\)
- “graphon 이론"과 같은 범주
FA logic
- Expression \(E\coloneqq H\,|\,r\times E\,|\,0\,|\,+\,|\,1\,|\,\times\)
- Assertions. \(A\coloneqq E=E\,|\,E\le E\,|\,A\land A\,|\,\neg A\)
- Semantics. \([ [E] ]:\Phi\to \mathbb{R}\). \([ [A] ]:\Phi\to \mathbb{B}\)
Non-trivial ineq.어떻게?
\(H_{\cdot}\) 으로, single-labelled vertex가진 subgraph를 Expression에서 사용. monotone \(\alpha:Expr_{\cdot}\to Expr\) 도 정의. \(E_{\cdot}\) \(k\)개 뽑은 후 \(\sum_{k} E_{\cdot, i}^{2}\ge 0\) 사용. 후, 양변에 \(\alpha\) wrapping (monotone하므로 ㄱㄴ)
[!QUESTION] 그 sum-of-squares 항등식에서 labelled vertex가 하는 일을 모르겠다. \(\alpha\) 만들때 말고 언제 쓰이나?
A. \(\times\) 등을 계산할 때 역할을 한다.
무슨 \(\alpha_{d}\)?
adjoint. 내지는 [[갈루아 연결|갈루아 연결]]과 비슷. \(\gamma_{d}:FinGraph\to Pr(FinGraph_{\cdot})\) 생각. vertex 암거나 선택해 label주는 확률. Galois connection이 여기서는 $$p(\alpha_{d} (H_{\cdot}), G)=\mathbb{E}_{G_{\cdot}\sim\gamma_{d}(G)}[p_{\cdot}(H_{\cdot},G_{\cdot})]$$임. 선형대수에서도 \(\langle MV, w\rangle = \langle MV, M^{T}w\rangle\)에서 비슷한 adjoint relationship이 성립.
monotone한 증명 : gamma 이용해서..
Lean으로 도입
[[엄상일 교수님|엄상일 교수님]], 대학원생들과 직접 하는중인데. subtype coercion (Lean이 두 타입을 같다고 인식을 못함) 그리고 many calculation to be verified. automate하면 좋은데.
purely logical
checking \(E\ge 0\) is [[undecidable|undecidable]]. 생각) 따라서 SDP solver(Flagmatic 등)으로 bounded-depth relaxation을 쓰는 것.
[!QUESTION] flagmatic의 UB 구하는 과정 중에 결국 search depth에 의존적인 부분이 있는데, Lean에서는 그걸 사용하지 않을 수 있게 되나?
A. 아직은 그걸 하는게 아니고, 이미 증명된 것들을 옮겨오는 중이다.